<p></p><br /><br />지난달, 제주도의 호텔의 기계식 주차장에서 30대 관광객이 추락해 숨지는사고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최근 3년간, 이런 기계식 주차장에서 사망하거나 크게 다친 사건이 10건이 넘습니다. <br> <br>기계식이라 더 방치되는 안전 사각지대 문제, '다시 간다' 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흰색 승용차가 제주의 한 호텔 기계식 주차장 앞에 멈춰섭니다. <br> <br>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자 마자, 갑자기 차가 다시 출발합니다. <br> <br>운전석 문조차 닫히지 않은 상황.<br><br>차량을 멈추려고 남성이 다급히 차에 올랐지만, 차량은 출입문을 뚫고 넘어가 7미터 아래 주차장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30대 운전자는 그 자리에서 숨졌습니다. <br> <br>관련법상, 20 대 이상을 수용하는 기계식 주차장엔 설비 조작 등 주차 교육을 받은 관리인이 배치돼야 합니다. <br><br>이 호텔 기계식 주차장은 수용 규모가 60대가 넘지만, 사고 당시엔, 관련 교육을 받은 관리인이 없었습니다. <br><br>[유족] <br>"위법으로 운영해 놓고서는 자기들은 아무 잘못도 한 게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게…" <br> <br>호텔 측은 "교육은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, 주차 방법 등을 안내하는 직원은 있었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[제주 ○○호텔 관계자] <br>"저희 직원도 없었던 건 아니고. 계속 안내해 드리고. 빨리해야 입고되고 다른 차량이 진행되기 때문에 '알아서 하세요'라고 말할 수 없어요" <br> <br>하지만 사고 당시 CCTV를 확인한 유족들의 입장은 달랐습니다. <br> <br>[유족] <br>"(사고 20분 전부터) 동생 차량 포함해서 일곱 분 전원이 셀프로 이용하고 계셨고. 관리인이라고 주장하시는 그분은 다른 분들이 (기계 장치) 누르고 있는데 핸드폰만 보세요." <br> <br>[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] <br>"안전하게 이용하도록 조작해줘야 한다고 법에 나와 있기 때문에 조작을 관리인이 해야 하는 거고 아닌 사람이 하게 되면 문제가 되는 거죠." <br><br>지난 2018년부터 최근까지, 기계식 주차장에선 매년 4건에서 13건의 사고가 발생했고, 6명이 숨졌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전국 3만 7천개 기계식 주차장 가운데, 3분의 1에만 관리인 배치가 의무화돼 있습니다. <br><br>[조원철 /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] <br>"19대까지는 (관리인이) 없어도 된다는 이야기 아니에요. 그건 말이 안 돼요. 공동 기계 주차시설이 있다고 하면 관리인은 반드시 둬야 합니다." <br> <br>기계식 주차장의 출입문도, 전진하는 차량을 막아내지 못할 정도로 약하지만, 관련 규정은 없습니다. <br><br>[승강기 업체 관계자] <br>"문의 철판 두께가 1.5mm에요. 종이 같이 문이 얇습니다. (차량) 충격에 견딜 수 있냐고 생각하면 이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거든요." <br> <br>4년 마다 실시하는 정밀 안전검사에서 '부적합' 판정을 받는 사례는 매년 수천 건에 달합니다. <br> <br>지난 2016년, 추락 사고로 운전자가 사망했던 서울 강남구의 이 기계식 주차장은 이번에 또 다시 '부적합'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[서울 강남 ○○빌딩 관계자] <br>"센서를 다는 거예요. 지하에다가. 유예기간 줬는데 못 달았어요." <br> <br>지난해 국토부는 추락방지장치 설치를 의무화 했지만 지난 3월 이후 새로 만들어지는 곳들만이 대상이여서,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'다시 간다' 우현기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최수연 <br>AD : 권용석 <br>작가 : 박정민 <br>그래픽 : 임솔 박소연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donga.com